알쓸신잡

🇯🇵 일본 방언 함께 배워봐요! 에피소드 7 – 느리고 묵직한 말투, 도호쿠벤 (東北弁)

유랑민Luna 2025. 5. 10. 10:00
반응형

일본의 북동부에 위치한 도호쿠 지역(東北地方, Tōhoku chiho)은 아오모리, 이와테, 미야기, 아키타, 야마가타, 후쿠시마의 6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도쿄보다 북쪽에 있으며, 자연이 풍부하고 겨울이 길고 눈이 많이 오는 지역으로도 유명하죠.

도호쿠 지역은 한적하고 조용한 분위기와 함께 검소하고 성실한 주민들의 성격이 반영된 문화와 말투가 특징이에요.
그 말투가 바로 도호쿠벤(東北弁)입니다. 도호쿠벤은 일본어 방언 중에서도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방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요.
말이 빠르지 않고 억양이 묵직하며, 단어 생략이나 변화가 많아 **외지인에게는 자막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들 정도**라는 평가도 있어요. 하지만 그 속에는 지역 사람들의 정서와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답니다 😊

이 글에서는 도호쿠 지역 전체의 방언적 특징을 소개하고, 각 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도호쿠벤을 사용하는 캐릭터
맞아~ 그렇지~ 인자한 미소의 할아버지가 말씀하시네요.

💡 도호쿠벤의 특징

도호쿠벤(東北弁)은 지역별로 차이가 크지만,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 특징을 갖고 있어요.

  • 느린 억양과 묵직한 발음 – 말의 속도가 빠르지 않고, 낮고 묵직한 음조가 많아요.
  • 말 끝의 축약 – 조사와 동사를 많이 생략하거나 축약하는 경향이 있어요.
    예: 「だよね」 → 「だべ」, 「してる」 → 「してら」
  • 문장 끝에 '〜べ', '〜っちゃ', '〜ず' 같은 어미가 자주 붙어요.
  • 자기방어적이거나 겸손한 느낌 – 직접적으로 감정을 표현하기보다는, 완곡하게 말하는 문화가 반영돼 있어요.

도호쿠 지역 방언은 **외지인에게는 낯설고 어려울 수 있지만**, 그만큼 토속적인 매력과 정감이 담겨 있어요.
특히 시골 할머니·할아버지 캐릭터가 도호쿠벤을 쓰는 경우가 많아, **‘정이 가는 말투’**로 인식되기도 한답니다.


반응형

🗣️ 예시 – 도호쿠벤 스타일 표현

표준 일본어 도호쿠벤 뜻 (한국어) 발음 (한글)
そうだよね そうだべ 그렇지? 소-다베
している してら 하고 있어 시떼라
大丈夫だよ だいじょぶだべ 괜찮아~ 다이조부다베
行こうか? 行ぐべ? 갈까? 이구베?
美味しいね うんめぇな 맛있네 운메-나

 

표준어와 비교하면 어미가 다르고 음절도 짧아진 걸 볼 수 있어요.
실제로 도호쿠벤을 들으면, ‘다베’, ‘베’, ‘なぁ’, ‘ら’ 같은 말끝이 인상 깊게 들릴 거예요.


🗣️ 도호쿠벤 실제 표현 예문

도호쿠 지역의 일상 속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대표적인 말들을 소개할게요!

    • 「んだんだ」
      → 해석: 맞아, 그렇지
      → 발음: *는다인다*
      💬 대화 중 고개 끄덕이며 자주 쓰는 리액션 말투

 

    • 「行ぐべ!」
      → 해석: 가자!
      → 발음: *이구베!*
      💬 친구들끼리 가볍게 외칠 때 많이 씀

 

    • 「け!」
      → 해석: 먹어!
      → 발음: *케!*
      💬 아오모리, 아키타 쪽에서 어르신들이 식사 권할 때 자주 쓰는 짧은 말

 

    • 「寒いなや〜」
      → 해석: 춥구나~
      → 발음: *사무이나야~*
      💬 눈 오는 날 길거리에서 들리는 말

 

  • 「うんめぇなぁ〜」
    → 해석: 맛있다~
    → 발음: *운메-나아~*
    💬 음식 먹고 감탄할 때 자주 나오는 표현

🎬 도호쿠벤을 들을 수 있는 애니메이션 / 영화

다음은 도호쿠벤을 실제로 접할 수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속 캐릭터 소개입니다.

    • 『이웃집 토토로 (となりのトトロ)』 – 사츠키의 이웃 할머니
      → 후카가와(도호쿠 출신) 사투리 느낌이 살짝 섞여 있는 말투를 사용해요.
      → 따뜻하고 느릿한 억양이 도호쿠벤과 유사하게 느껴져요.

 

    • 『날씨의 아이 (天気の子)』 – 히나의 동생 나기의 이모
      → 도호쿠 지방 출신으로 설정된 캐릭터로, 아주 짧지만 도호쿠 억양의 말투가 반영됨.

 

  • 『우리는 모두 카와이군 (君に届け)』 – 쿠루미
    → 작중 지역은 미야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센다이벤(だっちゃ) 말투가 자연스럽게 사용됨.

도호쿠벤은 전국적으로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이런 캐릭터들이 등장할 때마다 정이 가는 말투, 시골의 따뜻함을 전해주곤 해요.
직접 들어보면, 억양과 말끝 표현이 왜 ‘이해하기 어렵지만 매력 있다’고 불리는지 느낄 수 있을 거예요 😊

 

2025.04.30 - [알쓸신잡] - 🇯🇵 일본 방언 함께 배워봐요!에피소드 6 –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말투, 하카타벤 (博多弁)

반응형